문헌록 전자족보(대동보) > 문헌록
           
1. 문헌 목록 〉11. 11世 〉1. <요재공>미재공휘여충묘갈명(嵋齋公諱汝忠墓碣銘)
1. 문헌 목록 〉11. 11世 〉3. <요재공>증조봉대부사헌부지평모충재공휘여관묘갈명(贈朝奉大夫司憲府持平慕忠齋公諱汝寬墓碣銘)
1. 문헌 목록 > 11. 11世 >  
2.<요재공>절사모충재공휘여관행상(節士慕忠齋公諱汝寬行狀)
節士慕忠齋公諱汝寬行狀 窃惟我公生焉而學紫陽之學死焉而義重峰之義節義道學互爲其根應乎千里人彝之所不可易者也受親終身慕爲君盡心忠故號之以慕忠忠根於孝亦不可誣也公諱汝寬字士弘吾趙系玉川再麗氏中葉檢校大將軍門下侍中諱璋於公爲上祖歷奉翊大夫版圖判書諱洪珪大匡輔國光祿大夫玉川府院君諱佺至三世農隱公諱元吉與圃冶諸賢上接麗氏之統策立恭讓王錄一等克復功臣又封玉川君 贈諡忠獻樂齋公諱瑛農隱之嫡嗣也與弟瑜全凤僕之節我 朝徵吏判師傅幷不就樂齋長男諱龜山生員司正親歿與弟生員斐廬墓銘於座隅曰劬勞罔極哀纏軒墀文郡守諱士淳縣監諱諱淵敎授諱彭齡參奉諱應堅公以上高曾祖考考號八友見乙巳禍作退老江湖與八從昆季湛樂故名其亭曰八友也公生嘉靖丁巳氣像嚴整慷慨有大節才德峻慧七歲能通考經署朱夫子八字符于其上十五歲志于學硏究經旨二十歲受正於文烈公趙重峰講磨道義先生知有大節甞語人曰國有難立志殉國者必此人也一日侍坐於先生會有天變公仰觀太息曰此兵象也其應在後十年乎先生黙然曰唯自是厥後有學向之餘力讀兵書習弓馬且以烈士傳朝吟而暮誦矣嗚呼國歩多艱穆陵壬辰倭奴進迫幾田甸大駕播越賊八都城屠殺生民如刈草芥公北首痛哭奮身提釼有與賊同死之心乃作赴敵歌有爲君死節戰場白骨斬賊懸樹歸事聖主等語義檄文又有大義與春秋同行壯節與日月爭光之句申論士民投袂而至者殆五百有餘時本道勤 王之師一潰於錦江三路官軍再潰於龍仁危在朝夕公遂擧義赴敵顧謂其妻曰婦方有身兄己每嗣幸而生男遂續兄後以奉先杞也婦曰妾亦知宗祀之重謹當俯從妾之所望臣爲其君惟忠而己婦人一言三綱立能令人益固卓卓不貳之節於是仗策上馬慨然有澄清一世之意所過沒邑一毫不犯衆心悦眠爭以簟壺迎勞皆願附義七月四日建旗皷于公州應慕者千有餘時三路之師失守於鳥嶺申砬死之公與前察訪朴春茂留陳公州以遏錦江以上之賊重峰與諸義士移陳清州以禦黃永以下之賊賊踰入錦山郡守敗死公率三千餘衆先登至至錦山重峰諸軍亦來會賊勢猖狂炮丸雨下官軍望風而崩義旅亦大潰重峰中丸血流淋漓執公手而託曰公速脱賊陳整收散軍死戰復讎言屹遂歿公收餘軍衆還陳於楸村東뱏爲人數百以爲前驅擊破東門燒薪縱馬賊救火相失使輕騎皷噪襲擊賊應弦而倒迎刃而仆枕尸而死者殆半賊將淸正更合散卒陳於山上各郡諸倭與清正合勢更進圍壁時官軍約期不臻賊卒日益添衆公背城一戰斬獲無筭賊愈死愈進兵寡勢懸奄爲中丸而與數百義士同殉是壬辰九月初七日也後重峰之殉侶二十日而前後斬馘殆五百餘級則公盖義士中事功偉然者也其弟汝誠招魂而葬于淳昌赤城面東亭後負子原 配南原尹氏合封其子義孝公之閔腹也十五歲始爲父追喪淂申三年出爲伯父後一以未及於父者事之萬曆乙巳特遣按問御史憂恤其家蠲徭給復完文傳在後孫家 純祖己卯贈臺職嗚呼擧義討賊將復君父之讐仗節殉國以守臣子之職也恢復箕封之域伊誰之功盖由於節義而節義自道學而來嚮所謂學其學而義其義者吁其然矣 歲戊午暮春上澣 從曾孫 克謙 謹述 절사모충재공휘여관행장(節士慕忠齋公諱汝寬行狀) 내가 생각하건대 우리 부군은 살아서 자양(紫陽)의 학문을 배우고 죽어서 중봉(重峯)의 절의를 옳게 해야 절의와 도학이 서로 그 뿌리가 되어 하늘이치와 사람으로서 떳떳이 지켜야 할 도리에 가히 바꾸지 못할 자로다. 어버이를 사랑하여 몸이 못도록 생각 하고 인군을 위하여 마음을 다하여 충성한 고로 모충으로써 호하였다. 충성이 효도에 뿌리한 것도 또한 가히 속일 수 없도다. 공의 휘는 여관(汝寬)이요 자는 사홍(士弘)이며 옥천조씨였다. 선대세덕은 묘갈에 기록되었음으로 첩록지 아니하고 고의 휘는 응견(應堅)이요 호는 팔우(八友)인데 을사(乙巳)년 사화가 일어나 매강호에 퇴노하여 八종 형제로 더불어 정자를 지어 함께 거처하며 담낙한 고로 그 정자를 팔우(八友)라 이름하였다. 공이 가정정사(嘉靖丁巳)년에 출생하여 기상이 엄정하고 강개하여 큰 절의가 있고 재덕이 높고 영민하야 七세에 능히 효경을 통달하고 주부자 八자부를 그 우에 써 붙였다. 十五세에 학문에 뜻을 두고 경전의 뜻을 연구하며 二十세에 문열공조 중봉(文烈公趙重峯)의 가르침을 받어 도의를 연구하니 선생이 큰 절개가 있는 줄 알고 일찍 사람에게 말하되 나라에 변란이 있으면 뜻을 세워 순국할 자는 반드시 이 사람일 것이라 하였다. 하루 날에 선생을 모시고 앉았는데 때에 천변이 있으니 공이 우러러보고 탄식하되 이는 전쟁이 날 징조라. 그 응보가 十년 뒤에 있을 것이라 하니 선생이 잠잠이 말이 없으시었다. 이로부터 학문의 여력으로 병서를 읽고 궁마(弓馬)를 익히며 또 열사전을 조석으로 탐독하였다. 오홉다. 나라일이 어려워 선조임진(宣祖壬辰)년에 왜구가 서울을 핍박하니 인군의 수레가 피란하고 적이 서울에 들어와 백성을 함부로 죽이기를 풀베듯 하니 공이 북향통곡하고 몸을 뽐내 칼을 끌고 적으로 더불어 함께 죽을 마음이 있어 이에 적진에 돌입할 노래를 지어 인군을 위하여 절의에 죽어 전장백골이 되도록 적을 베어 나무에 달고 돌아가 성주를 섬긴다는 등 말이 있고 또 대의는 춘추로 더불어 동행하고 장절은 일월로 더불어 빛을 다툰다는 글귀가 있었다. 사민(士民)에게 고하여 깨우쳐주니 소매를 걷어붙이고 일은 자 자못 五百여명이라. 때에 본도근왕의 군사가 한 번 금강에서 패하고 三로관군이 두 번 용인에서 무너져 위태함이 조석에 있는지라. 공이 마침내 의병을 거느리고 적진에 다다르며 그 부인에게 일러 가로되 2대가 현재 포태하였으니 다행히 생남하면 종가에 바쳐 써 선영 봉제사를 하게 하라 하니 부인이 가로되 내 또한 종사의 중함을 아는지라. 삼가 마땅히 응종하려니와 첩의 소망은 신하는 그 인군을 위하여 오직 충성할 따름이라 하였으니 부인의 한 말에 기강이 바로서고 능히 사람으로 하여금 높고 높은 두 마음이 없는 절의가 더욱 견고케 하였다. 이에 채찍을 잡고 말에 올라 강개하여 온 세상을 깨끗이 쓸어버릴 뜻을 가지고 지낸 고을마다 추호도 침노함이 없으니 생민이 기꺼이 복종하고 도시락에 담은 밥과 병에 연장으로 의병들마저 다 종군코자 하였다. 七월四일에 기와 북을 공주에 세우니 응모한 자 千유여명이나 때에 三로의 군사가 새재에서 패하여 신립(申砬)이 죽고 공은 전찰방 박춘무(朴春茂)로 더불어 공주에 유진하야서 금강이상의 적을 막고 중봉은 여러 의사로 더불어 청주로 진을 옮겨서 황영(黃永)이하의 적을 방어하니 적이 금산에 넘어오매 군수가 패하여 죽었다. 공이 三千여 중을 거느리고 선등하야 금산이 이르니 중봉제국이 또 와서 회진하나 적의 형세가 창궐하고 포탄이 비 오듯 하니 관군이 바람을 바래고 무너지고 의병이 또 크게 패하여 중봉이 총에 맞아 피가 흘러 번지르르하며 공의 손을 잡고 부탁하되 공은 속히 적진을 벗어나 흩어진 군사를 정돈하여 죽도록 싸워 원수를 잡으라 말을 마치고 마침내 순국하였다. 공이 남은 군중을 수집하야 진을 추촌에 옮기고 섶을 묶어 사람 수백을 만들어서 앞세우고 동문을 쳐부수며 말을 달려 섶에 불을 지르니 적이 불을 끄느라 서로 대오를 많거늘 기병으로 하여금 북치고 함성하며 습격하니 적이 활과 칼에 맞아 죽는 자 태반이라. 적장 청정이 다시 흩어진 군졸을 모아 산위에 진치니 각군 왜군이 청정으로 더불어 합세하야 다 진격하는데 때에 관군은 약정한 날에 오지 않고 적군을 날마다 합세하니 공이 성을 등지고 한번 싸워 무수히 참획하였으나 적이 더욱 진격하므로 군사는 적고 형세가 달려 문득 탄환을 맞고 수백의사로 더불어 함께 순국하니 때는 임진(壬辰)년 九월초 七일이었다. 중봉이 순국한 후 겨우 二十일에 전후 참획 적이 자못 五百여급이니 공은 대개 의사중 사공(事功)이 위대한 자였다. 그 아우 여성(汝誠)이 혼을 불러 순창 적성면 동정뒤 자좌에 장사하고 배 남원윤씨 묘소는 합봉이며 그 아들 의효(義孝)는 공의 유복으로 十五세에 아버지 복을 다시 입어 三년 시묘하고 백부후사로 출계하였다. 만력을사(萬曆乙巳)년에 특별히 안문어사를 보내 그 집을 구휼하고 부역을 감제하며 전토를 하사하고 호를 회복한 완문이 후손가에 유전하며 순조 기묘(純祖 己卯)년에 사헌부지평을 증직하였다. 오홉다. 의병을 모아 적을 친 것은 장차 군부의 원수를 갚는 것이요 절의를 지켜 순국한 것은 신자의 직책을 지킴이라. 기봉의 지경을 회복한 것이 저 누구의 공인고. 대개 절의에 따름이오. 절의는 도학으로부터 온 것이다 한 것은 먼저 말한 그 학문을 배우고 그 의리를 옳게 한자니 감탄한 바로다. 종증손(從曾孫) 극겸(克謙) 근술(謹述) 註:※자양(紫陽):주자 ※기봉(箕封):기자 조선
 
1. 문헌 목록 〉11. 11世 〉1. <요재공>미재공휘여충묘갈명(嵋齋公諱汝忠墓碣銘)
1. 문헌 목록 〉11. 11世 〉3. <요재공>증조봉대부사헌부지평모충재공휘여관묘갈명(贈朝奉大夫司憲府持平慕忠齋公諱汝寬墓碣銘)